도전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항해하는 백엔드 개발자 이승철 입니다.
🎂 Birth
1997.12.09
🐱 Github
💾 Tech Blog
"A smooth sea never made a skilled sailor."
거친 파도가 유능한 항해사를 만들어내듯, 저는 도전과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개발자입니다.
여러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백엔드 아키텍처 설계부터 실시간 데이터 처리, AI 모델 기반 서비스 개발까지 다양한 기술적 도전과 마주했습니다. 이를 통해 단순한 기능 구현을 넘어서, 안정적이고 확장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특히 누떡 프로젝트에서는 AI 면접 코치 기능을 개발하며, KoGPT-2 모델을 프로젝트에 맞춤화하고 최적화하여 HTTP 응답 처리를 성공적으로 구현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무중단 배포 관련 리디렉션 문제를 해결하며, 배포 전략에 대한 깊은 통찰을 얻게 되었고, 이를 통해 서비스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새로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더 혁신적인 서비스와 기술을 제공하는 개발자로 끊임없이 나아가겠습니다.
Language
기본 개념 학습 완료. 심화 개념 학습 중.
포트폴리오 공유 웹 프로젝트에 node.js + express.js와 함께 적용하여 서버 사이드 로직 구현 및 RESTful API 개발. 비동기 처리와 콜백 함수를 사용하여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 구현 경험.
기본 개념 학습 완료. 심화 개념 학습 중.
환경 데이터 웹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DTO를 통한 데이터 전송 구조화 및 유효성 검사 미들웨어로 데이터 검증 기능 구현, 커스텀 에러 클래스를 사용한 예외 처리.
Nest.js 기반의 면접 커뮤니티 웹 프로젝트에도 적용하여 DTO와 타입 안정성을 보장하며 layered Architecture로 모듈화된 구조를 설계.
Database
기본 개념 및 쿼리문 학습 완료. 심화 개념 학습 중.
JavaScript와 함께 Mongoose를 사용하여 스키마 설계 및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을 수행, 포트폴리오 공유 웹 프로젝트에 적용.
CRUD 기능 구현과 함께 MongoDB의 비정형 데이터 처리를 활용한 경험.
기본 개념 및 쿼리문 학습 완료. 심화 개념 학습 중.
환경 데이터 웹 프로젝트에 적용, 트랜잭션 개념 및 connection pool 활용.
기본 개념 학습 완료.
MySQL과 함께 사용하여 엔티티와 리포지토리 패턴을 활용한 데이터베이스 모델링과 관계 설정을 학습. 면접 커뮤니티 웹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마이그레이션 및 트랜잭션 관리 기능 구현.
Tools
버킷 정책 설정, multer를 이용하여 이미지 업로드 및 삭제 기능 구현 경험.
면접 커뮤니티 웹 프로젝트에서 presigned URL을 활용하여 S3에 대한 안전한 접근 제어와 이미지 업로드/다운로드 기능을 구현.
VM을 통해 PM2와 함께 무중단 배포 및 SSL 인증서 발급 후 https 전환 경험.
환경 데이터 웹 프로젝트에서 GCP의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데이터 저장 및 관리 경험.
Backend
포트폴리오 공유 및 환경 데이터 웹 프로젝트에 사용.
DTO,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로 구조화하여 모듈화된 애플리케이션 설계.
node-mailer를 활용한 이메일 발송 기능 구현, node-cron으로 예약 작업 스케줄링, winston을 사용한 효율적인 로깅 시스템 구축.
PM2와 Nginx를 이용한 무중단 배포 경험.
면접 커뮤니티 웹 프로젝트에 사용. Oauth2.0 인증과 권한 관리를 통해 Google 및 Kakao 소셜 로그인 기능 구현.
layered Architecture 적용을 통해 모듈화된 구조 설계.
RESTful API와 함께 AI 챗봇 HTTP 응답 방식 설계 및 구현.
Jest를 사용한 단위 테스트 코드 작성.
Frontend
엘리스 부트캠프에서 학습. 기본 개념 학습 중.
Collaborations
팀 협업에서 GitLab과 GitHub를 사용한 경험이 있음.
Git flow 전략을 통한 브랜치 관리와 코드 리뷰 프로세스 숙지.
Merge request 및 이슈 트래킹을 활용한 협업 경험.
Conventional Commits 규칙을 준수한 커밋 메시지 작성 경험.
팀 협업 도구로 사용. 프로젝트 관리 및 템플릿 제작 경험.
프로젝트 기획 시 마인드맵 및 워크플로우 제작 경험.
프론트엔드 팀과의 소통 도구로 사용. 디자인 작업 경험은 부족.